
한일 정상회담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이재명 대통령이 미국 워싱턴DC 방문 일정을 시작했다. 이번 방미는 총 2박 4일 일정으로, 25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이 최대 관전포인트다.
이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오후 2시 56분, 워싱턴DC 앤드류스 합동기지에 도착했다. 미측 의전단과 조현 외교부 장관 등 양국 관계자들이 환영했다. 첫 일정으로 이 대통령은 동포들과의 만찬 간담회를 갖고 방미 공식 일정을 출발했다.
25일 열릴 한미 정상회담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집요하게 제기해온 방위비 분담금 증액 요구가 핵심 의제로 다뤄질 전망이다. 우리 정부는 일부 수용 여지를 두되, 일본 방문 성과로 강조된 한·미·일 3각 공조를 명분으로 협상에 임한다는 전략이다.
이와 함께 트럼프 행정부가 지속적으로 제기해온 원자력 협정 개정 문제가 우리측 협상 카드로 활용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경제·통상 현안도 버거운 과제다. 미국의 관세 장벽 완화 협상은 진통이 예상된다. 특히 철강·알루미늄 등 주요 산업 분야에서 50%에 이르는 고율 관세 문제가 여전히 걸림돌이다. 대미 투자펀드 구체화 요구, 농축산물 시장 추가 개방 압력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우리 측은 조선업에 이은 원전 협력 확대와 함께, 방산·AI·반도체 등 안보 및 미래산업과 직결된 협력 모델을 제시해 돌파구를 모색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미국이 집중하는 대중국 견제 전략에도 부합하는 카드로 평가된다.
안보 의제에서는 북한 비핵화 문제도 조율된다. 한국 정부는 ‘핵 동결-축소-비핵화’ 3단계 로드맵을 제안한 바 있어, 이에 대한 미국의 공식적 동조와 협력을 이끌어내는 것이 이번 회담의 중요한 성과 목표로 꼽힌다.
정상회담 직후인 25일 오후에는 양국 주요 기업들이 참가하는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이 열려 방산·AI·반도체·K-컬처 등 전략 산업에서의 투자·협력 논의가 이루어진다.
이 대통령은 이어 미국 내 대표적 초당파 외교·안보 싱크탱크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서 정책연설을 하고 만찬 간담회에 참석할 예정이다.
이번 2박 4일간의 방미는 방위비·통상 압박을 조율하면서도, 한미일 협력 강화와 북핵 해법 공조를 마련하는 중요한 시험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haileyyang14@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