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News
  • 국정자원관리원 복구율 36.7%…“7·8전산실 연계 시스템이 병목 원인”

국정자원관리원 복구율 36.7%…“7·8전산실 연계 시스템이 병목 원인”

화재 3주차에도 복구 지연…정부 “대구센터 이전·민간 클라우드 병행”

국정자원관리원 복구율 36.7%…“7·8전산실 연계 시스템이 병목 원인”
지난 10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에 방문한 이재명 대통령 (사진제공=대통령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하 국정자원)의 대전 본원 전산실 화재 발생 3주차에 접어든 가운데, 정부 전산시스템 복구율이 여전히 30%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낮 12시 기준 총 709개 정부 전산 시스템 중 260개(36.7%)가 복구됐다. 전날 오후 9시 이후 추가 복구는 없는 상태다.

등급별로 보면 1등급 핵심 시스템 40개 중 30개(75.0%), 2등급 시스템 68개 중 35개(51.5%)가 복구된 것으로 나타났다.

복구가 지연되는 가장 큰 원인으로는 화재 피해가 집중된 5층 전산실(7·7-1·8전산실)과 연계된 시스템이 많다는 점이 꼽힌다.

이재용 국가정보자원관리원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에서 “독립된 전산실 가운데 복구 가능한 시스템은 대부분 완료됐다”며 “현재 남아 있는 시스템은 대부분 5층 전산실과 연계된 것들”이라고 밝혔다.

특히 8전산실의 경우 분진 제거 및 전원 공급이 완료돼 복구가 본격화됐지만, 7전산실 장비를 활용하는 시스템이 다수여서 복구가 어려운 상황이라는 게 정부 설명이다.

김민재 중대본 제1차장(행정안전부 차관)은 “7전산실 장비에 저장된 데이터 복구가 먼저 이뤄져야 하고, 이후 시스템도 순차적으로 복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복구 속도를 높이기 위해 대구센터와 민간 클라우드 이전을 병행하고 있다. 김 차장은 “현재 기준 대구센터로 이전할 시스템 20개를 선정했고, 일부는 이전 작업을 이미 시작했다”고 밝혔다.

또 대구센터로 이전하지 않는 시스템에 대해서는 대전센터 내 5·6전산실로 이전하는 방안도 함께 추진 중이다. 이를 위해 5·6전산실에는 신규 장비 설치가 완료된 상태다.

정부는 복구에 속도를 내기 위해 주말 동안 기존 700여 명의 복구 인력 외에 제조사 인력 80여 명을 추가 투입했다.

앞서 대전 본원 1~6전산실에 위치한 행정 시스템 중, 화재와 무관한 시스템은 지난 5일 복구를 완료했다. 하지만 7·8전산실은 화재와 분진, 연기 피해 등으로 복구 작업이 지연되고 있다.

국정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은 총 9개 전산실(2층~5층)로 구성돼 있으며, 7-1전산실에서 발생한 이번 화재는 인접한 7·8전산실까지 피해를 확산시킨 바 있다.

정부는 “백업 데이터와 대체 장비를 활용해 단계적으로 복구를 이어갈 계획”이라며 “조속한 정상화를 위해 가용 자원을 총동원하겠다”고 밝혔다.

haileyyang14@naver.com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