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가 김현지 대통령 부속실장의 국정감사 증인 채택과 관련해 “문제가 없는데 부를 수 있느냐”고 말해 여야 공방이 가열되고 있다. 여당 일각에서는 김 부속실장의 국감 불출석을 정당화하기 위한 ‘사전 포석’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김 원내대표는 10일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 사안이 이상하게 정쟁화돼 있다”며 “필요하면 부르고, 필요 없으면 안 부르는 문제”라고 말했다. 이어 “총무비서관을 부르는 게 관례라고 하지만, (운영위원회에서) ‘인사이동이나 신규 임명 시 해당 직위의 현직자를 증인으로 하겠다’고 분명히 밝혔다”고 설명했다.
김 원내대표는 “김현지 부속실장이 총무비서관 보임 당시 참사나 문제가 있었다면 고려할 수 있겠지만, 그런 게 없는데 부를 수는 없다”며 “그렇게 따지면 (전 정권) 인사에 가장 관여한 김건희 여사를 불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 사안은 원칙대로 처리할 것이며, 개인 의견은 고려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문진석 원내수석부대표도 “기관증인 문제는 간사 간 합의사항”이라며 “정쟁의 불쏘시개로 쓰이려는 의도라면 받아들일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에 국민의힘은 즉각 반발했다. 최수진 원내수석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국감에서 ‘김현지 미스터리’를 반드시 밝히겠다”며 “김 부속실장은 대통령의 최측근이자 1급 공직자인 만큼, 각종 의혹을 국민 앞에서 직접 해명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국민의힘은 김 부속실장이 총무비서관 시절 인사 개입 의혹을 받았다며, 강선우 여가부 장관 후보자 낙마 통보 및 김인호 산림청장 천거 논란 등을 거론했다. 최 대변인은 “민주당이 ‘만사현통(萬事炫通·모든 일이 김현지를 통한다)’ 의혹의 진실을 숨길 이유가 없다”며 “국감장에서 직접 해명하라”고 압박했다.
한편 김 부속실장은 지난달 29일 대통령실 총무비서관에서 제1부속실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국민의힘은 이를 두고 “국회 출석을 피하기 위한 인사”라고 비판하며 “대통령의 ‘그림자 측근’을 감추려는 꼼수”라고 공세를 이어가고 있다.
haileyyang14@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