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진숙 전 방송통신위원장의 체포와 석방을 둘러싸고 여야 간 공방이 연휴 내내 이어졌다. 야권은 “추석 밥상머리에 ‘이진숙 체포’를 올리려는 전형적인 정치 수사”라며 경찰을 비판했고, 여권 내부에서도 “체포는 과잉이었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는 9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연휴 직전 정당한 불출석 사유를 제출하고 성실히 소명해 온 이진숙 전 위원장의 손에 불법적으로 수갑을 채웠다”며 “정권의 ‘절대존엄’ 김현지 총무비서관을 보호하기 위해 서둘러 제1부속실장으로 임명한 직후 체포가 이뤄졌다”고 주장했다.
장 대표는 체포 직후에도 “이 전 위원장은 경찰에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으며, 체포 요건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영장 신청 과정에서 직권남용 소지가 있다. 법적 책임을 반드시 묻겠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박성훈 수석대변인(부산 북을) 역시 “민주당이 추석 밥상에 ‘절대존엄 김현지’를 올리지 않으려는 전략적 목표에 경찰이 보조를 맞춘 결과”라며 “수사의 정당성을 잃었다”고 비판했다.
여당 내부에서도 경찰의 무리한 대응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박범계 의원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체포 자체의 정당성을 떠나, 이 사안을 둘러싼 여론의 파장을 예상하지 못했다면 이는 순진함을 넘어 과잉행동”이라며 “체포영장의 발부와 집행이 실무적으로 어떤 의미를 갖는지 숙고했어야 했다”고 비판했다.
일부 여권 관계자들은 이 전 위원장이 체포 당시 수갑 찬 손을 들어 보인 장면이 오히려 ‘정치 탄압을 받는 보수 인사’라는 이미지를 강화했다고 분석했다.
민주당 최민희 의원은 MBC라디오 인터뷰에서 “정치인은 자기 부고만 아니면 언론에 많이 노출되는 게 좋다는 말이 있다”며 “이 전 위원장이 지금 그 말을 몸소 실천하고 있는 듯하다”고 꼬집었다.
한편 국민의힘 손수조 미디어대변인은 CBS라디오 인터뷰에서 “민주당이 이번 사태로 난처해졌을 것”이라며 “이 전 위원장은 보수 진영의 ‘여전사’로 자리매김했다. 사실상 대권 주자로도 거론될 만큼 민주당이 스타 한 명을 만들어준 셈”이라고 평가했다.
haileyyang14@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