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News
  • 장동혁 “정부, 공직사회 줄 세우려 휴대전화까지 뒤져…언론·국민 입막음”

장동혁 “정부, 공직사회 줄 세우려 휴대전화까지 뒤져…언론·국민 입막음”

장동혁 “정부, 공직사회 줄 세우려 휴대전화까지 뒤져…언론·국민 입막음”
1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회의실에서 장동혁 당대표 주재로 최고위원회의가 열리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신상진 성남시장이 참석해 대장동 항소 포기를 한 자들에 대해 성남시는 공수처에 고발하고 검찰이 몰수·추징보전한 2070억원에 대한 가압류 추진과 현재 진행중인 손해배상청구 소송의 청구금액을 4890억원 이상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 2025. 11. 13 (사진제공=국민의힘)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가 17일 이재명 대통령을 향해 “공직사회를 편 가르기 위해 이제는 공무원들의 휴대전화까지 살피겠다고 나선 상황”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장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이 대통령이 성남시장이던 2016년 한 강연에서 “사고 치면 휴대전화 뺏기지 말라”고 말한 발언 영상을 회의장에 상영한 뒤 이같이 지적했다. 그는 “현수막 하나 제대로 걸지 못하게 하고, 특정 국가 관련 혐오 표현까지 법으로 처벌하려 하더니 언론과 국민을 향한 ‘입틀막’은 이미 오래전에 시작됐다”며 “대한민국의 자유가 어디로 사라졌는지 묻고 싶다”고 말했다.

송언석 원내대표도 비판을 이어갔다. 그는 “언어를 교묘히 바꾸는 ‘입막음’의 달인이 이재명 정권”이라며 “헌법 파괴를 내란으로 몰아간다는 주장에 ‘헌법 존중·정부 혁신’이라는 이름을 씌우고, 공무원 사찰을 ‘신상필벌’이라고 부른다”고 주장했다.

송 원내대표는 또 “대통령이 말한 ‘헌법 파괴 내란 몰이 TF’와 공직사회 활력 제고 방안은 전혀 다른 사안”이라며 “이 두 가지를 뒤섞어 마치 정당한 신상필벌인 것처럼 포장한 것은 명백한 언어 왜곡”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공직 기강 확립이란 결국 성과에 대한 합리적 평가와 보상체계를 갖추는 데서 출발한다”며 “공무원의 PC와 휴대전화를 무차별적으로 들여다보고, 동료 고발을 받기 위한 제보센터를 만드는 것은 북한에서나 있을 법한 불법 감시”라고 비판했다.

마지막으로 송 원내대표는 “정부가 공무원 휴대전화를 그렇게 들여다보고 싶다면, 먼저 최고위 공직자인 대통령 본인의 휴대전화부터 조사하는 것이 순서”라고 꼬집었다.

haileyyang14@naver.com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