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지아주 현대·LG 배터리 공장 현장에서 벌어진 대규모 이민 단속은 단순한 법 집행을 넘어, 한·미 동맹의 신뢰를 시험하는 사건이 되었다. 약 475명이 구금되고, 그중 300여 명의 한국인이 포함되었다. 트럼프 행정부의 강경한 반이민 정책 속에서 대규모 구금 사태가 벌어진 것이다.
이번 사건은 미국의 과도한 결정이 어떻게 혈맹 관계를 위협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한·미 동맹은 단순한 군사 협정이 아니라, 수십 년간의 상호 신뢰와 희생, 공동 가치에 기반해 유지되어 왔다. 그러나 정치적 목적에 따라 동맹국 국민을 대규모로 구금하는 행위는 동맹에 대한 최소한의 존중마저 훼손한다. 이는 단순히 양국 관계에 그치지 않고, 미국이 국제사회에서 지켜온 신뢰를 흔드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경제적 측면에서도 문제는 심각하다. 현대·LG 배터리 공장은 미국 내 전기차 산업의 핵심이자 지역 일자리 창출의 상징적 프로젝트다. 그 현장에서 일하는 한국 기술자를 위법자로 몰아가는 방식은 투자 안정성과 협력 신뢰를 동시에 해치며, 전 세계 투자자들에게 부정적 신호를 준다. 여기에 더해, 이번 사건을 계기로 한국 내에서는 미국 제품 불매운동의 조짐까지 나타나고 있다. 일부 소비자는 단순한 경제적 선택을 넘어, 미국 정부의 과도한 조치에 대한 항의의 의미로 불매를 검토하고 있으며, 이는 장기적으로 양국 경제 관계에 부담이 될 수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동맹과 국제사회에 대한 책임을 재점검해야 한다. 구금된 한국 근로자의 안전한 귀국과 재입국 보장, 기술 인력을 위한 합리적 비자 정책은 단순한 외교적 조치가 아니라, 미국이 세계 질서에서 신뢰받는 국가로 남기 위한 필수 조건이다.
과도한 단속과 정치적 과시는 미국을 국제사회에서 외톨이로 만들 수 있다. 동맹국과 투자 파트너의 신뢰를 잃는다면, 국익과 안보 모두가 위태로워질 수밖에 없다. 한국 내 불매운동과 같은 사회적 반발은 그 신호탄일 뿐이다. 한·미 관계를 비롯한 미국의 글로벌 파트너십은 힘의 과시가 아닌, 신뢰와 책임의 위에 세워져야 한다.
jp.bong518@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