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릉시가 수십 년 만의 최악 가뭄에 직면한 가운데, 정부와 지자체가 본격적인 절수 조치에 들어갔다. 하지만 강력한 제한급수 시행에도 생활용수 사용량이 기대만큼 줄지 않아, 실질적인 효과를 위한 추가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일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강릉 가뭄대처 상황보고’에 따르면, 강릉시의 주 수원인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은 전날 오후 6시 기준 14.4%를 기록했다. 이는 하루 전보다 0.3%포인트 낮아진 수치로, 관측 이래 최저 수준에 가까운 심각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정부와 강릉시는 수도 계량기의 75%를 잠그는 강력한 제한급수 조치를 시행했다. 시는 절수 효과를 높이기 위해 강릉 시내 공중화장실 47곳을 폐쇄하고, 수영장 3곳의 운영도 일시 중단했다.
하지만 기대했던 만큼의 절수 효과는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다. 제한급수 시행 전인 8월 18일 하루 생활용수 공급량은 9만5천417㎥였고, 계량기 75% 잠금 조치가 시작된 8월 31일에는 8만5천750㎥로 소폭 감소하는 데 그쳤다. 9월 1일에도 8만5천497㎥가 공급되는 등 실질적인 감소 효과는 미미한 상황이다.
강릉시는 저수율 20% 이하 시점에는 50% 제한급수로 하루 5만7천㎥, 15% 미만에서는 75% 제한급수로 3만8천㎥까지 공급량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지만, 실제로는 15% 내외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8월 30일 오봉저수지를 직접 방문해 “계량기 잠금만으로는 획기적인 절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며, “시간제 또는 격일제 급수를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강릉시도 “저수율이 10% 이하로 하락할 경우, 시간제 급수 도입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강원도와 강릉시, 환경부, 행정안전부 등으로 구성된 ‘범정부 가뭄 대응 현장지원반’을 가동해 긴급 대응에 나섰다. 현장지원반은 병물 지원과 급수 차량 투입, 대체 용수 공급 등을 통해 주민 피해 최소화에 주력하고 있다.
지금까지 소방차 71대, 군 물탱크 4대 등 총 112대의 장비를 동원, 오봉저수지 등을 대상으로 총 5,071톤의 급수를 지원했고, 2만 톤에 달하는 대체 용수도 확보해 공급 중이다. 병물도 총 141만 병을 비축해놓고 있으며, 이미 노인복지시설과 학교 등에는 28만3천여 병이 배부됐다. 이어 시민 전체를 대상으로 한 병물 2차 지원도 준비 중이다.
시민들은 이미 생활 속에서 절수 운동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화장실 청소를 물티슈로 대신하고, 머리 감은 물을 재활용하거나, 세탁을 최소화하는 등 자발적인 절수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물보다 비 소식이 더 간절하다”는 반응이 많다.
강릉시는 당분간 뚜렷한 강수 예보가 없는 만큼, 추가적인 급수 대책과 함께 물 공급 방식 전환을 신속히 검토해 나가겠다는 입장이다.
haileyyang14@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