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베트남 여성 관광객이 서울 경복궁 담벼락에 기대 요가하는 모습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데 대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6일 문화재 훼손 우려를 제기했다. 2024.11.6 (사진제공=서경덕 교수 SNS 캡처)
한 베트남 여성 관광객이 서울 경복궁 담벼락에 기대어 요가하는 모습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데 대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6일 문화재 훼손 우려를 제기했다.
서 교수는 이날 자신의 SNS를 통해 “베트남 현지에서 한국의 역사적 장소에서 부적절한 행동을 했다는 지적이 제기됐고, 이를 본 한국 누리꾼들도 ‘잘못했다’고 비판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자신이 어느 나라 어느 지역에서 요가를 하든 자유지만, 다른 나라 문화재에 직접 기대어 하는 행위는 명백한 잘못”이라며 “이것이 문제 될 것 없다는 그의 주장은 그릇된 판단”이라고 꼬집었다.
또 “경복궁 관계자들은 앞으로 이런 일이 벌어지면 반드시 제지해야만 한다”고 덧붙였다.
5일(현지시간) 현지 매체 VN익스프레스에 따르면 하노이에 사는 H씨는 지난달 29일 한국 방문 중 경복궁 광화문 옆 돌담 앞에서 전신 레깅스를 입고 고난도 요가 동작을 취하는 모습 촬영, 틱톡 등에 올렸다.
논란이 되자 H씨는 자기 행동이 규정을 위반하지 않았고 경복궁 보안요원이 주의를 주지도 않았다며 항변했다.
juhakim@gmail.com


![[사설] 정치 실종의 국감, 국민은 지쳐간다](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74.png)



![[봉쌤의 대화방] 남궁형 “유쾌한 상상, 상상 제물포… 초대 제물포 정부를 꿈꾼다” [봉쌤의 대화방] 남궁형 “유쾌한 상상, 상상 제물포… 초대 제물포 정부를 꿈꾼다”](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12.png)
![[봉쌤의 대화방] 노영민 전 대통령비서실장 — “잃어버린 3년, 이제는 충북의 미래를 바로 세워야 할 때” [봉쌤의 대화방] 노영민 전 대통령비서실장 — “잃어버린 3년, 이제는 충북의 미래를 바로 세워야 할 때”](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18-1024x767.png)
![[봉쌤의 대화방 | 2025.10.19] “제주는 더 이상 끝이 아니라 — 시작이다.” [봉쌤의 대화방 | 2025.10.19] “제주는 더 이상 끝이 아니라 — 시작이다.”](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0/image-109-1024x683.png)
![[봉쌤의 책방] ‘한국 사람’이라는 질문 – 우리는 누구인가? [봉쌤의 책방] ‘한국 사람’이라는 질문 – 우리는 누구인가?](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png)
![[여기 어디양?!] “세 살 건강이 여든까지 간다”… 국내 최초 ‘키·골절·골다공증·총명 특허한약’ 기반 진료 – 황만기키본한의원 [여기 어디양?!] “세 살 건강이 여든까지 간다”… 국내 최초 ‘키·골절·골다공증·총명 특허한약’ 기반 진료 – 황만기키본한의원](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57-1024x681.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