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News
  • [사설] 사임 앞둔 이시바 총리 방한, 한일 협력의 연속성을 확인해야

[사설] 사임 앞둔 이시바 총리 방한, 한일 협력의 연속성을 확인해야

[사설] 사임 앞둔 이시바 총리 방한, 한일 협력의 연속성을 확인해야
이시바 총리와 이재명 대통령 (사진제공=대통령실)

사임을 앞둔 일본의 이시바 시게루 총리가 9월 30일부터 10월 1일까지 한국을 방문해 이재명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는다. 후임 총리가 곧 선출될 상황에서 이뤄지는 이번 회담은 자칫 형식적 만남으로 비칠 수도 있다. 그러나 불확실성이 큰 국제 정세 속에서 양국의 연속적 협력 의지를 확인한다는 점에서 결코 소홀히 다뤄서는 안 될 외교 일정이다.

한일 관계는 늘 과거사 문제와 현실 정치가 복잡하게 얽혀 왔다.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문제, 일본의 수출 규제, 역사 교과서 왜곡 논란 등은 여전히 양국 국민 감정을 자극하는 요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국은 경제·안보·외교 전반에서 협력이 불가피한 파트너다. 특히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이 고도화되는 상황에서, 한미일 3각 안보 협력이 흔들리면 동북아 전체의 불안정성이 커질 수밖에 없다. 이 점에서 이번 정상회담은 과도기적 국면 속에서도 ‘협력은 흔들리지 않는다’는 원칙을 확인하는 자리가 되어야 한다.

경제적 측면에서도 한일 협력의 필요성은 분명하다. 반도체, 배터리, 에너지 안보 등 전략산업 분야에서 양국의 공급망 협력은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는 핵심 축이 된다. 최근 미·중 갈등이 심화되는 가운데, 기술과 자원의 안정적 확보는 국가 안보와 직결되는 문제다. 따라서 이번 회담에서 공급망 협력, 기후 변화 대응, 청년 교류 확대와 같은 미래 지향적 의제가 논의된다면 양국 관계는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맞을 수 있다.

물론 이시바 총리가 곧 자리에서 물러나는 만큼, 이번 회담에서 큰 합의가 도출되기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외교는 선언적 의미만으로도 힘을 갖는다. 떠나는 총리와 마주 앉아 ‘관계의 연속성’을 재확인하는 것은, 후임 정부가 외교 정책을 설계하는 데도 중요한 지침이 될 수 있다. 이재명 대통령 역시 상대가 곧 떠날 인물이라는 점을 의식하기보다, 일본 차기 정권까지 내다본 장기적 관점에서 협력의 원칙을 분명히 세워야 한다.

외교는 종종 정권의 교체기나 과도기적 상황에서 시험대에 오른다. 이때 지도자들이 보여주는 선택과 언어가 관계의 향방을 좌우한다. 이번 한일 정상회담이 일시적 이벤트에 머물지 않고, 협력의 끈을 잇는 다리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 총리는 바뀔 수 있어도, 양국의 국익은 계속 이어져야 한다. 지금 필요한 것은 과거에 얽매인 감정의 언어가 아니라, 공동 번영을 향한 실용의 지혜다.

top_tier_1@naver.com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