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서구의 분구가 2026년 예정됨에 따라, 지역 주민들의 목소리를 모으고 미래 서해구의 청사진을 함께 그리기 위한 ‘서해구준비위원회’가 공식 출범하였다.

이번 준비위원회는 행정구역 분구 과정에서 주민 의견을 적극 반영하고, 교통·교육·복지·도시계획 등 주요 현안을 논의하기 위한 시민 참여형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단순한 행정 절차를 넘어 주민이 주도하는 지역 발전 논의의 장을 열겠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서해구준비위원회는 출범과 함께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을 개설하여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방에서는 ▲분구 추진 관련 소식 공유 ▲교통·주거·생활 인프라 개선 의견 수렴 ▲시민 아이디어 제안 및 토론 등이 활발히 진행될 예정이다.
위원회 관계자는 “서해구의 출범은 행정구역 분할을 넘어 새로운 성장 기회를 만드는 과정”이라며, “시민 한 분 한 분의 참여와 제안이 서해구의 경쟁력 있는 미래를 만드는 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해구준비위원회는 앞으로 간담회, 토론회 등 다양한 온·오프라인 소통 창구를 마련해 주민 의견을 모아가며, 중앙정부와 인천시, 서구청 등 관계 기관에 전달할 계획이다.
👉 참여 방법: 카카오톡에서 ‘서해구준비위원회’를 검색하거나, 아래 오픈채팅방 링크를 통해 참여 가능하다.
[카카오톡 오픈채팅방 바로가기]

![[사설] 장외투쟁은 자위적 위안, 스스로 무덤을 파는 자해적 선택 아니길… [사설] 장외투쟁은 자위적 위안, 스스로 무덤을 파는 자해적 선택 아니길…](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09/IMG_3098-788x1024.jpeg)



![[사설] 계엄의 그림자 넘어, 명예로운 ‘국민의 군대’로 거듭나길](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127.png)
![[기억의 시간] “불꽃으로 새긴 의(義), 106년의 기억” [기억의 시간] “불꽃으로 새긴 의(義), 106년의 기억”](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79.png)
![[봉쌤의 책방] 음표사이의 이야기, 클래식이 다가오다 [봉쌤의 책방] 음표사이의 이야기, 클래식이 다가오다](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77.png)
![[심층취재] 스승을 외면하고 팬에게만 머리 숙인 리더 [심층취재] 스승을 외면하고 팬에게만 머리 숙인 리더](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104-1024x596.png)
![[사설] AI 커닝 사태, 돈의 시대가 빚은 도덕의 붕괴 [사설] AI 커닝 사태, 돈의 시대가 빚은 도덕의 붕괴](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94-1024x603.png)
![[기억의 시간] “우리는 기계가 아니다” — 청계천의 불꽃, 그 이름을 다시 부르다 [기억의 시간] “우리는 기계가 아니다” — 청계천의 불꽃, 그 이름을 다시 부르다](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121.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