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청(前문화재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는 이달 21일 고유제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경주 금척리 고분군 발굴조사에 들어간다.
고유제(告由祭)는 국가나 사회에서 중대한 일을 치르기 전에 그 사유를 알리는 의례를 뜻한다.

경주 건천읍에 소재한 금척리 고분군은 신라 왕경의 서쪽 외곽에 있는 대규모 고분군이다. 금척(金尺) 설화와 신라 6부 중 하나인 모량부와의 연관성으로 인해 일제강점기 이후 신라 고분 문화와 신라사 연구에 있어 중요한 유적으로 인식되어왔다.
이번 학술발굴조사는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가 경주시와 함께 금척리 고분군에 대한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고 처음 시행되는 것으로, 신라 왕경 중심부와 주변 고분군의 비교 연구를 통하여 금척리 고분군의 성격을 명확하게 밝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 경주시 및 학계 관계자들, 지역민 등이 참석하는 가운데 경주향교(전교 이종암)의 집례로 거행되는 이번 고유제는, 조사단의 안전을 기원하고, 금척리 고분군의 첫 학술발굴조사를 축하하기 위함이다. 행사는 국악브라스밴드 시도(XIIDO)의 식전공연을 시작으로, 국가유산청 출범 홍보영상을 비롯하여 신비한 금자(金尺) 이야기, 금척리 고분군에 관한 인터뷰 영상 상영, 고유제 봉행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 관계자는 “앞으로 진행될 경주 금척리 고분군의 조사 성과와 가치를 우리 국민과 공유하며 신라 역사의 새로운 장을 써나가고자 한다”고 밝혔다.
zerosia83@gmail.com


![[사설] 인공지능 시대 여는 2026년도 정부 예산안, 대한민국 미래의…](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33-1024x683.png)
![[사설] 교수 임용의 공정성, ‘유담 논란’이 던지는 무거운 질문](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30-1024x419.png)
![[사설] “절차적 위법으로 취소된 경고, 윤리의 눈높이는 여전히 남았다”](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28.png)

![[봉쌤의 대화방] 남궁형 “유쾌한 상상, 상상 제물포… 초대 제물포 정부를 꿈꾼다” [봉쌤의 대화방] 남궁형 “유쾌한 상상, 상상 제물포… 초대 제물포 정부를 꿈꾼다”](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12.png)
![[봉쌤의 대화방] 노영민 전 대통령비서실장 — “잃어버린 3년, 이제는 충북의 미래를 바로 세워야 할 때” [봉쌤의 대화방] 노영민 전 대통령비서실장 — “잃어버린 3년, 이제는 충북의 미래를 바로 세워야 할 때”](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18-1024x767.png)
![[봉쌤의 대화방 | 2025.10.19] “제주는 더 이상 끝이 아니라 — 시작이다.” [봉쌤의 대화방 | 2025.10.19] “제주는 더 이상 끝이 아니라 — 시작이다.”](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0/image-109-1024x683.png)
![[봉쌤의 책방] ‘한국 사람’이라는 질문 – 우리는 누구인가? [봉쌤의 책방] ‘한국 사람’이라는 질문 – 우리는 누구인가?](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png)
![[사설] 다시는 같은 비극이 없도록 — ‘10·29 참사’가 남긴 경고 [사설] 다시는 같은 비극이 없도록 — ‘10·29 참사’가 남긴 경고](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0/image-101-1024x683.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