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News
  • 조국혁신당 강미정 대변인 탈당 선언…“성희롱·괴롭힘 외면한 당, 더는 기다릴 수 없다”

조국혁신당 강미정 대변인 탈당 선언…“성희롱·괴롭힘 외면한 당, 더는 기다릴 수 없다”

조국혁신당 강미정 대변인 탈당 선언…“성희롱·괴롭힘 외면한 당, 더는 기다릴 수 없다”
조국혁신당 강미정 대변인 (사진제공=연합뉴스)

조국혁신당 강미정 대변인이 당내에서 성희롱과 성추행, 괴롭힘 등을 당했다며 4일 탈당을 선언했다. 강 대변인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동지라고 믿었던 이들의 성희롱과 성추행, 괴롭힘을 마주했다. 그러나 당은 피해자들의 절규를 외면했다”고 밝혔다.

강 대변인은 조국혁신당 여성위원회 부위원장을 맡아 활동해왔으며, 당내 성비위 사건과 관련해 줄곧 문제를 제기해왔다. 그는 “윤리위원회와 인사위원회는 가해자와 가까운 인물들로 채워져 있었고, 외부 조사기구 설치 요구는 한 달이 넘도록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그 과정에서 피해자들에게는 또 다른 가해가 쏟아졌다”고 주장했다. 또한 “사건이 접수된 지 다섯 달이 지난 지금까지도 당의 피해자 지원 대책은 마련되지 않았다”며 “가장 먼저 이뤄졌어야 할 피해자 보호와 회복이 외면당하는 사이에 피해자들은 당을 떠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회견 도중 여러 차례 울먹이며 말을 잇지 못하기도 했다.

조국혁신당 창당 초기부터 활동해 온 그는, 광복절 특별사면을 통해 복귀한 조국 혁신정책연구원장을 향해서도 실망감을 드러냈다. 강 대변인은 “사면 이후 당이 제자리를 찾고 바로잡히길 기다렸지만 더는 기다릴 필요가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말했다. 기자회견 직후 취재진과의 질의응답에서는 “조 원장이 수감돼 있는 동안 당원들이 편지를 통해 성비위 사건 소식을 전했고, 출소 이후에도 피켓과 문서로 해당 사실을 자세히 전달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하지만 조 원장에게서도, 당의 입장에서도 어떤 변화도 느낄 수 없었다”고 말했다.

이날 회견에는 조국혁신당 강미숙 여성위원회 고문과 김재원 의원도 자리해 강 대변인을 지지했다. 강 고문은 “피해자들이 당이 지원하는 회복 조치를 받고 정상적으로 업무에 복귀하길 바라며 긴 시간을 버텨왔는데, 결국 모든 피해자가 당을 떠나게 돼 매우 비통하고 참담하다”고 말했다.

조국혁신당은 같은 날 공식 입장문을 내고 반박에 나섰다. 당은 “성비위 및 괴롭힘 사건과 관련해 당헌·당규에 따라 피해자 요구사항을 모두 수용한 절차를 마쳤다”며 “사실과 상이한 주장이 제기된 점에 대해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또한 “신고 접수 직후 윤리위원회에 사건을 회부했고, 피해자 요구에 따라 외부기관에서 사건을 조사했으며, 그 결과를 수용해 가해자를 제명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당 차원에서 취할 수 있는 절차는 모두 완료됐다”고 덧붙였다.

당은 별도로 외부 전문가들로 구성된 ‘인권 향상 및 성평등 문화 혁신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대응 과정을 점검했고, 피해자 지원 및 재발 방지 방안이 포함된 당규 제정안도 마련했다고 밝혔다. 강 대변인이 제기한 윤리위·인사위 구성의 문제에 대해선 “오해 소지가 있는 위원은 모두 회피했고 외부 인사가 책임을 맡아 사건을 처리했다”고 반박했다. 2차 가해에 대한 조치가 부족했다는 주장에는 “추가 신고가 없어 취할 수 있는 조치가 없었다”고 했고, 피해자를 도운 이들이 징계받았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사실이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앞서 조국혁신당은 내부 성비위 사건과 관련해 가해자 2명에게 각각 제명과 당원권 정지 1년의 징계를 내린 바 있다. 그러나 당의 공식 대응과 별개로 피해자들과 일부 당원들은 진상 규명과 피해자 보호 조치가 충분하지 않았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으며, 강 대변인의 탈당 선언은 이 같은 갈등이 수면 위로 드러난 사례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정당 내부에서의 젠더 이슈 대응이 점차 정치적 신뢰와 직결되는 상황에서, 이번 사태는 조국혁신당의 리더십과 조직 문화에 대한 물음표를 던지고 있다.

haileyyang14@naver.com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