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장애인 비하 발언 논란에 휩싸인 박민영 당 미디어대변인의 사표를 반려했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진중권 광운대 특임교수가 “유유상종”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사의를 수용했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진 교수는 18일 자신의 SNS를 통해 “두 사람이 장애인을 조롱하며 웃어대는 모습을 보니 입을 다물 수 없다”며 “정말 심각한 수준”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장동혁 대표가 박 대변인의 사표를 돌려보냈다는 보도를 보았다”며 “인재(?)가 인재(?)를 알아본다는 것인가. 이대로 넘어가선 안 된다”고 꼬집었다.
박정하 국민의힘 의원도 이날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 인터뷰에서 관련 논란을 언급했다. 박 의원은 “당에서는 엄중 경고 조치를 했다고 설명하지만, 단순 실수라는 표현으로는 사안이 정리되기 어렵다”며 “발언의 수준과 인식 자체가 상식선을 벗어난 만큼 사의를 받아들였어야 당 부담이 덜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박민영 대변인은 한 유튜브 방송에서 김예지 국민의힘 의원을 겨냥해 “왜 국민의힘에서 공천을 받으려 하냐”, “비례대표로 혜택은 누리고 싶고 민주당으로 가면 공천 못 받을 것 같으니까 그런 것 아니냐” 등 발언을 했다. 그는 “당론을 가장 자주 어기는 사람이 김예지”라며 “장애인 할당이 너무 많다. 적절한 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김 의원을 향해 “배려받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한다”고 말하는가 하면,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에 대해서도 “머리가 꽃밭 같다”고 비난했다. 이어 “한동훈이 김예지를 에스코트할 때 기사화가 많이 됐다”며 “장애인을 액세서리처럼 취급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강남좌파식 위선과 선민의식이 결합해 “말도 안 되는 비례대표 재선 결과를 낳았다”고도 했다.
국민의힘은 전날 공지를 통해 “장동혁 대표가 박 대변인에게 엄중 경고 조치를 했다”며 “대변인단을 포함한 당직자 전체에게 언행에 각별히 유의하라고 당부했다”고 밝혔다.
논란이 커지자 박 대변인은 SNS에서 “장애인 할당 자체를 반대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장애인이 다른 집단보다 과도하게 대표돼선 안 되고, 특정인에게 과한 특혜가 부여될 이유도 없다는 취지”라고 해명했다.
김예지 의원은 결국 박 대변인을 경찰에 고소했다. 김 의원은 “이번 일은 단순한 개인적 공격을 넘어, 사회적으로 용납돼선 안 될 차별적 언어가 공적 영역에서 소비된 문제”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haileyyang14@naver.com



![[사설] ‘지금은 맞고 그때는 틀리다’](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114-715x1024.png)
![[기억의 시간] “우리는 기계가 아니다” — 청계천의 불꽃, 그 이름을 다시 부르다 [기억의 시간] “우리는 기계가 아니다” — 청계천의 불꽃, 그 이름을 다시 부르다](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121.png)
![[사설] 엘리트 외교관, 어쩌다 이 지경까지 — 義利의 길을 저버린 위증의 밤 [사설] 엘리트 외교관, 어쩌다 이 지경까지 — 義利의 길을 저버린 위증의 밤](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106.png)
![[여기 어디양?!] 🔥정직한 밥상, 가족의 온기로 차린 한 끼 – 최서방네 우렁쌈밥대패정식 [여기 어디양?!] 🔥정직한 밥상, 가족의 온기로 차린 한 끼 – 최서방네 우렁쌈밥대패정식](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110-1024x735.png)
![[봉쌤의 책방] 영웅의 허울을 벗기니 비로소 사람이 보였다 [봉쌤의 책방] 영웅의 허울을 벗기니 비로소 사람이 보였다](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145.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