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의 UAE(아랍에미리트) 국빈 방문과 관련해 대통령실이 “UAE가 보여준 극진한 환대가 매우 인상적이었다”고 밝혔다. 김남준 대통령실 대변인은 18일(현지 시간) 브리핑에서 “정상회담 준비부터 환대까지 세심한 배려가 곳곳에서 느껴졌다”고 평가했다.
김 대변인에 따르면,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UAE 대통령은 이날 이재명 대통령 부부를 위해 직접 준비한 야채 바구니와 후무스, 케이크 등 중동식 조찬을 챙기는 특별한 모습을 보였다. 이 대통령은 정상회담에서 이에 대해 감사의 뜻을 전했다고 한다.
정상회담 뒤 열린 오찬에는 한국 식재료를 활용한 메뉴가 마련됐다. 이 자리에서 UAE 음악대는 나훈아의 ‘울고 넘는 박달재’, 혜은이의 ‘제3한강교’ 등 한국의 옛 가요를 연주했다. 김 대변인은 “박달재는 영부인의 고향인 충북을 상징하는 노래이고, 제3한강교는 양국의 ‘다리 역할’을 의미하는 상징성에서 선택된 곡”이라고 소개했다.
정상회담 중 무함마드 대통령은 선친인 초대 대통령이 아부다비의 다리를 건설할 때 한국 업체를 시공사로 선택했던 일화를 직접 언급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이 대통령궁에 도착했을 때 UAE 측은 21발의 예포, 공군 에어쇼, 전통 공연 ‘알 아이알라’ 등을 준비해 국빈 방문의 격식을 더했다. 김 대변인은 “대단히 인상 깊은 환대였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무함마드 대통령에게 UAE 국장과 지폐 등에 등장하는 상징 동물인 팔콘(매) 조형물을 선물했다. 대통령실은 “무함마드 대통령이 평소 매 사냥을 즐기는 점을 고려했으며, 국력·통찰·국민 헌신의 의미를 담은 선물”이라고 설명했다.
살라마 여사에게는 전통 나전칠기함인 ‘높은 나예함’(나비처럼 아름답다는 의미), 파티마 여사에게는 전통 보석공예품 ‘궁중매영’이 전달됐다.
또한 김 대변인은 “오늘 밤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인 두바이 부르즈 칼리파에 대형 태극기 조명이 점등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UAE 측의 제안으로 이 대통령은 오찬 전 바라카 원전에서 근무 중인 양국 근로자들도 격려했다. 바라카 원전은 한국과 UAE 원전 협력의 대표적 상징이다.
또한 UAE는 칼둔 칼리파 알 무바라크 아부다비 행정청장과 마이사 빈트 살렘 알 샴시 국무장관을 ‘영예 수행단’으로 지정해 이번 국빈 방문 기간 내내 대통령 일정을 함께하도록 했다.
전날 밤에는 내무부 청사 앞에 역대 최대 규모의 태극기가 게양됐고, ADNOC(아부다비석유공사) 본사 등 주요 랜드마크 건물 외벽에도 태극기 조명이 켜지며 뜨거운 환영 분위기가 이어졌다.
haileyyang14@naver.com




![[사설] ‘지금은 맞고 그때는 틀리다’ [사설] ‘지금은 맞고 그때는 틀리다’](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114-715x1024.png)
![[기억의 시간] “우리는 기계가 아니다” — 청계천의 불꽃, 그 이름을 다시 부르다 [기억의 시간] “우리는 기계가 아니다” — 청계천의 불꽃, 그 이름을 다시 부르다](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121.png)
![[여기 어디양?!] 🔥정직한 밥상, 가족의 온기로 차린 한 끼 – 최서방네 우렁쌈밥대패정식 [여기 어디양?!] 🔥정직한 밥상, 가족의 온기로 차린 한 끼 – 최서방네 우렁쌈밥대패정식](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110-1024x735.png)
![[봉쌤의 책방] 영웅의 허울을 벗기니 비로소 사람이 보였다 [봉쌤의 책방] 영웅의 허울을 벗기니 비로소 사람이 보였다](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145.png)
![[사설] 계엄의 그림자 넘어, 명예로운 ‘국민의 군대’로 거듭나길 [사설] 계엄의 그림자 넘어, 명예로운 ‘국민의 군대’로 거듭나길](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127.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