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은 (사)국가무형문화재기능협회와 공동으로 이달 17일부터 24일까지 제44회 ‘전통공예명품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회는 서울 강남구에 있는 국가무형유산 전수교육관 전시관 ‘올’에서 열리며 개막식은 16일 오후 2시 개막식에 있다.
전시회에는 ‘무형유산(無刑遺産)’을 주제로 한 국가무형유산 기능 보유자 27인의 작품을 비롯해 (사)국가무형문화재기능협회 회원들이 참여하는 다양한 종목의 전통공예 작품 총 114점이 출품됐다.
한편 전통공예 발전에 공헌한 공로와 노고가 있는 장인 3명에게는 문화재청장상이 수여될 예정이다.
올해에는 천공상(天工賞)에 국가무형유산 악기장 보유자 이정기, 명공상(名工賞)에 국가무형유산 자수장 전승교육사 김영이, 명장상(名匠賞)에 국가무형유산 매듭장 이수자 김시재가 수상의 영예를 안는다.


천공상 수상작인 「소리북」은 5년 이상 자연 건조한 소나무로 북통을 만들고 한우 생피를 무두질하여 제작된 북으로 절제된 멋스러움과 품격을 담은 작품이다.
명공상 수상작인 「새천년의 아침」은 아름다운 자수 기법의 정수를 엿볼 수 있는 작품으로, 장생불사(長生不死)를 표상하는 십장생의 일부를 회화적으로 구성하고 명주색실로 수를 놓은 것이 특징이다. 명장상 수상작인 「진주선」은 궁중혼례에서 사용하는 화려한 부채로 손잡이 끝 부분을 붉은 유소로 장식해 단아한 멋을 자아내는 작품이다.
전통공예명품전은 국민 누구나 무료로 관람이 가능하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사)국가무형문화재기능협회(☎02-3453-1685~6)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은 오는 17일 ‘국가유산청’ 출범을 계기로, 전통공예 활성화 사업을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무형유산의 위상을 한층 더 끌어올리고, 전승자들이 자긍심을 가지고 전승활동에 매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나갈 예정이다.
zerosia83@gmail.com


![[기억의 시간] “불꽃으로 새긴 의(義), 106년의 기억”](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79.png)
![[봉쌤의 책방] 음표사이의 이야기, 클래식이 다가오다](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77.png)


![[봉쌤의 대화방] 남궁형 “유쾌한 상상, 상상 제물포… 초대 제물포 정부를 꿈꾼다” [봉쌤의 대화방] 남궁형 “유쾌한 상상, 상상 제물포… 초대 제물포 정부를 꿈꾼다”](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12.png)
![[봉쌤의 대화방] 노영민 전 대통령비서실장 — “잃어버린 3년, 이제는 충북의 미래를 바로 세워야 할 때” [봉쌤의 대화방] 노영민 전 대통령비서실장 — “잃어버린 3년, 이제는 충북의 미래를 바로 세워야 할 때”](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18-1024x767.png)
![[여기 어디양?!] “세 살 건강이 여든까지 간다”… 국내 최초 ‘키·골절·골다공증·총명 특허한약’ 기반 진료 – 황만기키본한의원 [여기 어디양?!] “세 살 건강이 여든까지 간다”… 국내 최초 ‘키·골절·골다공증·총명 특허한약’ 기반 진료 – 황만기키본한의원](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57-1024x681.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