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 “모든 논란은 제 책임”, 시민단체 옹호·비판 집회도 이어져
(청주=연합뉴스) 심규석 기자 = 김영환 충북지사는 16일 ‘기꺼이 친일파가 되련다’는 발언에 논란과 관련, “도민께 심려를 드려 죄송한 마음”이라고 밝혔다.

[촬영 심규석 기자]
김 지사는 이날 도청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저의 페이스북 글 중 ‘친일파’라는 표현 때문에 많은 논란이 있는 것에 대해 제게 책임이 있다”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친일파라는 말은 우리 근현대사를 통해 한 개인이나 집단을 저주하는 가장 혹독한 ‘주홍글씨'”라며 “그렇기 때문에 진짜 친일이라면 바보가 아닌 이상 스스로 친일파라고 말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윤석열 정부가 마련한 해법(제3자 변제 방식)은 대한민국의 저력에서 발로한 자신감 그 자체로, 저는 한일외교를 복원하고 미래를 향한 윤 대통령의 외로운 결단에 공감을 보냈던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이번 결단은 박정희 대통령의 한일협정, 김대중 대통령의 문화개방과 같은 구국의 결단”이라며 “그럼에도 친일파라는 민감한 표현을 써 오해의 소지를 만들고 도민께 걱정을 끼친 것은 저의 불찰”이라고 말했다.

그는 “오로지 도민 여러분만 바라보며 도정에 매진할 것을 약속한다”고 덧붙였다.
김 지사는 이날 자신의 SNS를 통해서도 “양국 관계개선의 발목을 잡은 강제징용 피해 배상이 더 이상 늦춰져서는 안 되겠다는 절박감에서 나온 애국심과 충정의 강조였는데 많은 논란을 빚고 말았다”며 “개인적으로는 참으로 안타깝지만 모두 제가 감당해야 할 몫”이라고 강조했다.
또 “1964년 한일협정을 체결한 박정희 대통령, 1998년 일본문화 개방을 결정한 김대중 대통령, 오늘의 윤 대통령 모두 친일굴욕으로 몰렸지만 옳았다”는 의견을 내놨다.
앞서 이날 오전 11시 충북도청에서는 김 지사를 옹호하는 충북보훈단체협의회와 그를 비판하는 충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집회가 이어졌다.
보훈단체협의회는 “국가를 생각하며 정부의 판단을 응원한 (김 지사의) 글이 왜 친일로 몰려야 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면서 “충북 발전에 몰두하는 김 지사의 도정에 도움을 주지는 못할망정 최소한 방해는 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촬영 김형우 기자]
반면 충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기꺼이 친일파 망언 김영환 지사 사과하라’는 피켓을 들고 침묵시위를 했다.
ks@yna.co.kr


![[사설] 정치에 휘둘린 검찰과 법치의 침식](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82.png)
![[기억의 시간] “불꽃으로 새긴 의(義), 106년의 기억”](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79.png)
![[봉쌤의 책방] 음표사이의 이야기, 클래식이 다가오다](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77.png)

![[봉쌤의 대화방] 남궁형 “유쾌한 상상, 상상 제물포… 초대 제물포 정부를 꿈꾼다” [봉쌤의 대화방] 남궁형 “유쾌한 상상, 상상 제물포… 초대 제물포 정부를 꿈꾼다”](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12.png)
![[봉쌤의 대화방] 노영민 전 대통령비서실장 — “잃어버린 3년, 이제는 충북의 미래를 바로 세워야 할 때” [봉쌤의 대화방] 노영민 전 대통령비서실장 — “잃어버린 3년, 이제는 충북의 미래를 바로 세워야 할 때”](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18-1024x767.png)
![[여기 어디양?!] “세 살 건강이 여든까지 간다”… 국내 최초 ‘키·골절·골다공증·총명 특허한약’ 기반 진료 – 황만기키본한의원 [여기 어디양?!] “세 살 건강이 여든까지 간다”… 국내 최초 ‘키·골절·골다공증·총명 특허한약’ 기반 진료 – 황만기키본한의원](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57-1024x681.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