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당국은 군의 대북 첩보활동 핵심인 국군정보사령부 소속 해외 요원 정보가 다수 유출된 사건을 두고 원인으로 지목된 정보사 군무원을 집중 조사 중인 것으로 28일 알려졌다.
정보사는 요원 신상과 개인정보 등 1급 기밀 사항이 약 한 달 전 외부로 유출된 사실을 포착했다.
유출 정보는 최대 수천 건에 달하며, 외교관 등의 신분으로 활동하는 ‘화이트 요원’ 정보는 물론 해외에서 한국 정부 기관과 전혀 관계없는 것으로 신분을 위장하는 ‘블랙 요원’ 정보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 요원은 다수가 북한 관련 첩보 업무에 종사하며 유출 정보는 북한으로 전달되었다는 정황도 군 수사당국이 포착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대북 관련 첩보활동은 국가정보원보다 군 정보사가 더 뛰어난 역량을 발휘하며 많은 인원을 해외에 파견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군은 이번 사건의 핵심으로 과거 정보사 요원 활동을 했고 현재 군무원으로 근무하는 A씨를 수사하고 있다. 유출된 정보가 A씨의 노트북 컴퓨터를 통해 빠져나갔기 때문이다. A씨는 해킹 피해를 주장하고 있지만 군은 빠져나간 자료들이 A씨 노트북에 저장되어 있었다는 사실 자체에 주목하고 있다. 이들 자료는 A씨가 열람할 수 없는 자료들인 것으로 전해진다.
군에 따르면 정보사 내부 컴퓨터는 망이 분리돼 있어 온라인을 통한 해킹이 불가능하다. 그럼에도 정보사 내부에만 존재해야 할 자료들이 A씨 개인 노트북에 저장됐고 이를 통해 북한으로 자료가 넘어간 정황을 군이 파악했다. 본인이 의도하지 않고 내부망의 기밀 정보가 개인 노트북에 저장됐을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게 군 안팎의 관측이다.
군은 A씨 노트북에 기밀이 저장된 이유와 과정을 집중적으로 파악하고 있다. A씨가 개인 노트북에 저장할 수 없는 보안자료를 구하는 과정에서 내부 협조자가 있었을 가능성에 대해서도 군이 조사중이다.
군 내부적으론 A씨가 내부 조력자의 도움을 받아 자료를 구하고 이것을 개인 노트북에 저장한 후 외부로 유출해 의도적인 해킹을 유도했다는데 무게가 실리고 있다. A씨는 정보사에서 해외 공작 담당 부서 소속으로 전해졌다.
오랜 기간 정보사에 근무했던 A씨가 기밀을 개인 컴퓨터에 담아두는 것의 위험성을 몰랐다고 보기는 어렵다. 정보 유출 과정에 고의성이 있었다고 볼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이번 정보 유출로 인해 외국에 파견됐던 일부 요원은 신분 노출을 우려해 활동을 접고 귀국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남북 모두 집중적으로 첩보 활동을 펼치는 중국 지역에 구축된 첩보 라인이 붕괴돼 정보망 손실이 작지 않을 전망이다.
정보사에서 요원 명단이 유출된 것은 처음이 아니다.
2013년부터 정보사에서 근무한 공작팀장 황 모씨가 돈을 받고 해외정보요원 명단을 포함한 주요 기밀을 돈을 받고 판매한 사건은 당시 정보사 첩보 라인을 붕괴시켰다. 황씨는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정보사 소속 요원들의 신상 정보를 정보사 간부 출신 홍 모씨에게 누설했고 홍씨는 자료를 중국·일본 정보원에게 넘긴 것으로 조사됐다.
jinsnow@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