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생활/건강
  • 도입 15년 서울 ‘따릉이’…서울시민 1명당 20번 탔다

도입 15년 서울 ‘따릉이’…서울시민 1명당 20번 탔다

생활의 편의와 시민의 건강을 위해 지자체마다 경쟁적으로 도입했던 공공자전거. 창원시를 시작으로 서울특별시, 수원시, 고양시, 인천광역시, 안산시 등에서 시도했지만 현재 공공자전거가 남아 있는 곳은 서울과 창원 뿐이다.

대부분 공공자전거는 지자체의 수익 면에서는 기여하지 못하는게 공공자전거를 폐지한 이유이다. 창원시의 경우 공공자전거 ‘누비자’ 운영을 위해 연간 약 47억원의 예산을 투입하는 반면 이용료는 불과 16억원에 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공자전거가 가장 활발히 운영되고 있는 곳은 서울이다.

서울의 공공자전거 ‘따릉이’는 오세훈 시장이 캐나다 공공자전거 시스템 ‘빅시(BIXI)’에서 착안해 2010년 440대를 시범 도입, 2015년 정식 운영에 들어갔다.

따릉이 운영대수는 시범운영 시기였던 2010년 440대에서 2024년 현재 4만5000대로 102배 증가, 대여소 또한 2010년 44곳에서 2024년 2700곳으로 대폭 늘어 명실상부 시민에게 사랑받는 대표적인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했다.

도입 15년 서울 ‘따릉이’…서울시민 1명당 20번 탔다

서울시 산하 서울연구원이 지난 15년간 ‘따릉이’의 이용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10년 공공자전거 ‘따릉이’가 도입된 이래 지난달까지 총 1억9000만 건이 이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민 한 명당 20번 가량 이용한 셈으로, 일평균 따릉이 이용건수도 2010년(413건) 대비 2023년(12만 건)에 298배 늘었다.

최근 5년간(2019~2024년) 월별 따릉이 이용을 파악한 결과, 동절기인 1~4월 이용건수가 2019년 334만 건(17.5%)에서 2023년 1177만 건(26.2%)으로 3.5배 늘어 단순 레저용이 아니라 일상 속 이동을 위한 ‘교통수단’으로 정착해 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자치구별로는 2019년 송파구, 2023년 강서구에서 이용이 많았던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업무지구가 집중된 마곡·잠실·여의도 등 출퇴근 수요가 높은 지역, 지하철 및 대중교통 환승 수요가 많은 지역, 한강 등 레저 이용이 높은 지역에서 따릉이 이용이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정여원 서울시 보행자전거과장은 “지난 15년간의 운영 성과 분석을 토대로 따릉이 시스템과 정책을 꾸준히 고도화해 나갈 것”이라며 “2050년 ‘탄소 중립 도시’ 달성을 위해 친환경 교통수단 ‘따릉이’의 이용 활성화에 동참해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jinsnow@gmail.com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