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0마디의 뼈가 움직여서 춤이 되느니라”
지금까지 전해지는 승무, 살풀이춤, 태평춤, 한량무, 학춤 등 현재 전통춤의 계보를 거슬러 오르다 보면 한 점으로 모이면서 만나게 되는 인물이 있다. 바로 5000년 역사의 우리 몸짓을 집대성하고 현재 뿌리 내리게 한 ‘근대 한국춤의 아버지’ 한성준 선생이다.

한성준 선생은 1874년 강원도 홍성에서 태어나 1930년대 당시 조선 땅에서 실낱같이 전승되던 우리 전통춤의 여러 갈래를 집대성하고 그 맥을 체계화 했다. 한성준은 조선 팔도를 돌며 악(樂)과 무(舞)를 두루 섭렵하고 익히며 더 나아가 무대예술로 재창작한 천재적인 춤꾼이면서 당대 명창들이 하나같이 최고로 손꼽았던 명고수였다.
그의 춤은 손녀 한영숙과 제자 강선영으로 전승돼 다시 이애주, 정재만, 박재희로 이어져 왔고, 그의 북장단 소리는 고음반에 새겨져 남아 후대 북고수들의 귀감이 되고 있다. 선생이 창안했거나 재구성한 춤들은 우리춤 중에서 가장 탁월하고 정통성 있는 춤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 가운데 승무(중요무형문화재 제27호)와 태평무(중요무형문화제 제92호)는 국가지정문화재로 보존되고 있다.

올해 그의 탄신 150주년을 맞이해 한성준 계보의 모든 유파들이 함께 모여 그의 춤 세계를 집대성해 조명하는 ‘2024 한성준 춤·소리 예술제’가 오는 25일 홍성문화원에서 열린다.
이번 예술제에는 한성준 선생이 남긴 춤종목으로 승무와 학춤, 살풀이춤, 태평무, 한량무가 초청된다. 한성준이 창안한 ‘학춤’을 이애주가 학탈을 벗어 재해석한 ‘학춤 기본사위’가 서막을 연다. 이어 춤꾼 내면의 세계를 자유롭게 표현해 고도의 기교를 펼치는 ‘살풀이춤’, 화려한 궁중의상에 발디딤새가 일품인 ‘태평무’, 한성준이 무용극 양식으로 창작한 ‘한량무’, 그리고 한성준-한영숙-이애주 맥으로 흐르고 있는 한국 전통춤의 백미인 ‘승무’가 대미를 장식한다.
‘2024 한성준 춤·소리 예술제’는 전석 초대이며, 선착순 예약제로 운용된다. 초등학생 이상 관람 가능하다. 관람 예약과 묘비 제막 참가 문의는 전화로 하면 된다.

jinsnow@gmail.com


![[기억의 시간] “불꽃으로 새긴 의(義), 106년의 기억”](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79.png)
![[봉쌤의 책방] 음표사이의 이야기, 클래식이 다가오다](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77.png)


![[봉쌤의 대화방] 남궁형 “유쾌한 상상, 상상 제물포… 초대 제물포 정부를 꿈꾼다” [봉쌤의 대화방] 남궁형 “유쾌한 상상, 상상 제물포… 초대 제물포 정부를 꿈꾼다”](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12.png)
![[봉쌤의 대화방] 노영민 전 대통령비서실장 — “잃어버린 3년, 이제는 충북의 미래를 바로 세워야 할 때” [봉쌤의 대화방] 노영민 전 대통령비서실장 — “잃어버린 3년, 이제는 충북의 미래를 바로 세워야 할 때”](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18-1024x767.png)
![[여기 어디양?!] “세 살 건강이 여든까지 간다”… 국내 최초 ‘키·골절·골다공증·총명 특허한약’ 기반 진료 – 황만기키본한의원 [여기 어디양?!] “세 살 건강이 여든까지 간다”… 국내 최초 ‘키·골절·골다공증·총명 특허한약’ 기반 진료 – 황만기키본한의원](https://telegraphkorea.com/wp-content/uploads/2025/11/image-57-1024x681.png)




